통신 포트 설정은 통신 프로그램에서 할 수 있지만 스튜디오에서도 통신 설정을 할 수 있다. 특히 SCADA CE를 사용할 때는 반드시 스튜디오를 이용해 통신 설정을 하고 배포하여 사용한다.
기본적인 통신 포트 설정은 통신프로그램에서 통신 포트 편집/수정을 참고한다.
포트 리셋 버튼 - 해당 포트를 선택하고 포트 리셋을 누르면 해당 포트가 다시 실시간 초기화된다.
DLL 배포 버튼 - 프로젝트 플랫폼을 'Windows CE' 로 선택했을때 사용할 수 있는 버튼이며 해당 포트를 선택하고 버튼을 누르면 CE용 프로토콜이 CE장치에 복사된다. (CE 장치에는 기본적으로 프로토콜 DLL이 들어있지 않으므로 필요한 프로토콜 DLL을 한번은 복사해야 사용할 수 있다.)
수정 - 수정 버튼을 누르면 해당 포트를 수정할 수 있으며 설정은 통신 포트 편집/수정을 참고한다. 특히 포트 설정에는 아래와 그림과 같은 암호화 탭이 있는데 암호화 사용법은 아래와 같다. 암호화는 10.3.2 부터 지원한다.
통신 암호화는 프로토콜을 최종 디바이스에서 코드를 암호화해서 보내고 받는 장치는 복호화해서 선로 해킹을 막을 수 있는 강력한 보안 장치이다.
물리적으로 암호화 설비를 디바이스의 끝단에 추가로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통신 암호화 사용' 클릭만으로 간단하게 하드웨어 암호화 기기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은 해킹의 우려가 많으므로 외부로 노출되는 통신은 반드시 암호화를 추천한다.
모든 프로토콜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COM 포트, TCP/IP, TCP Server 디바이스에서 사용할 수 있다.
키값 - 암호화 시 사용하는 키값으로 128/192/256 비트 값을 사용할 수 있다.
초기 벡터값 - 블럭 암호화 시 사용하는 값으로 각 블럭에서 특정 지점에서 XOR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암호화 엔진 - 128비트 각 블럭을 암호화하는 엔진으로 다음과 같은 엔진을 지원한다.
AES 엔진 - 2001년 미국 표준 기술 연구소(NIST)에 의해 제정된 암호화 방식
ARIA 엔진 - 2004년에 국가표준기본법에 의거, 지식경제부에 의하여 국가표준(KS)으로 지정
블럭 암호화 모드 - 블럭별 암호화 운영모드로 CBC / ECB / OFB / CFB / CTS 모드를 지원한다.
패딩 모드 - 원문이 블럭크기의 배수가 되지 않을 때 나머지 부분을 채우는 방법으로 None / PKCS7 / Zeros / ANSI923 / ISO10126 모드를 지원한다.
통신 프레임 구성 - 암호화된 블럭을 송수신할 때 프로토콜
DLE+STX+Data+DLE+ETX 모드 : 데이터 맨앞에 DLE+STX를 추가하고 데이터 중에 DLE가 나오면 DLE를 중복하고 데이터의 맨뒤에 DLE+ETX를 추가한 프로토콜 통신하는 방법
항상 송신측과 수신측이 위의 옵션을 모두 일치시키면 암호화 코드로 통신을 할 수 있다.
네트워크 메모리 서버 설정은 통신 프로그램의 네트워크 메모리 서버 설정을 참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