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이중화에 의한 네트워크

 

컴퓨터 이중화는 하나의 ( 또는 여러 개 ) PLC 및 콘트롤러가 2대의 컴퓨터에 연결되어 하나의 컴퓨터는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가 되고 다른 컴퓨터는 서버의 통신 데이터를 공유포트로 통신하여 이중화 시키는 네트워크이다.

 

컴퓨터 이중화를 시킨 후 2개의 서버를 실행하면 서버 간의 통신을 수행하여 어떤 시스템이 서버가 될 것인지를 결정한다.

또한 통신중인 서버가 절체조건이거나 시스템이 종료되면( 통신 프로그램 종료 등 ) 다른 서버가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참고) 컴퓨터 이중화에 의한 네트워크는 PLC는 ( 또는 콘트롤러 ) 하나의 통신 포트만을 제공하고 컴퓨터는 2대일 경우에 적합한 네트워킹 방법이다.

 

<그림 1>은 컴퓨터 이중화에 의한 네트워크를 구성한 예이다.

 

<그림 1> 컴퓨터 이중화에 의한 네트워크의 예

 

 

중요) 컴퓨터 이중화에 의한 네트워크는 서버끼리 통신 메모리를 공유하여 이중화를 시키는 방법이므로 그래픽, 리포트 등의 작업은 각각의 시스템 별로 작성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그래픽, 리포트 등을 작성하여 각 시스템에 복사하여 사용한다.

 

통신 프로그램( PLC_SCAN.EXE )의 ‘파일|통신 포트수정’ 메뉴에서 컴퓨터 이중화를 <그림 2>와 같이 설정하는데 2대의 서버 컴퓨터에 동일한 내용으로 설정한다.

 

<그림 2> 컴퓨터 이중화 설정을 위한 통신파일 편집 예

 

<그림 2>은 Glofa CNET ( Serial ) PLC로 컴퓨터 이중화를 할 경우의 통신파일을 편집한 예이다.

컴퓨터 이중화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그림 2>의 컴퓨터 이중화 설정영역의 ‘이중화 사용’을 체크하고 ( v )  버튼을 누르면 <그림 3>의 대화상자가 나타난다.

 

<그림 3> 컴퓨터 이중화 설정 대화상자

 

<그림 3>에서 컴퓨터 이중화 포트의 스레드 사용 여부, 상태 컴퓨터의 IP, 서버 A, B 간의 통신할 UDP/IP 서비스 포트, 절체조건 등을 설정한다.

서버 A와 서버 B의 컴퓨터 이중화 설정은 상대편의 IP 번지 및 절체조건 등만 다르게 설정하고 서버스 포트 및 읽기 설정 등을 동일하게 설정한다.

 

참고) 컴퓨터 이중화를 위한 컴퓨터끼리 통신 메모리 전달을 위한 통신 프로토콜은 UDP/IP 를 사용한다.

 

 

관련항목)

네트워크 주 도움말